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궁근종 원인 증상 치료 예방

by 건강하고 싶은 김작가 2025. 3. 19.

자궁근종 정의

자궁 근종은 자궁을 이루고 있는 평활근이라는

곳에 생기는 양성 종양 질환입니다.
자궁 근종은 자궁 내에 어디에 발생하는지에

따라 3가지로 나뉩니다.
여성에게 매우 흔하게 발생하며 35세 이상의

여성에게는 40~50% 나타납니다.
질환에 걸린 후 적절하게 대응을 하지 않는다면 

난임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유산이나 

배뇨장애등의 다양한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의료기관에서의 검진이 필요합니다.

자궁근종 원인

자궁 근종의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지만 여러 연구를 종합해 보면
자궁 내에 평활근에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을 하여 자궁 근종을 이루는 것으로 
보고가 되었습니다. 유전적인 영향도 관련이 있어

가족 구성원 중 자궁 근종이 있는 경우 발생

위험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 것을 알고 주기적으로 검진을 받아

관리를 해주는 것이 병변을 초기에

발견할 수 있는 예방법입니다.
자궁근종은 식습관 과도 연관이 있다는 

보고가 있는데 붉은 육류를 자주 섭취를 한다면

그 위험성이 70% 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어
채소와 과일처럼 식이섬유를 같이 섭취를

한다면 위험성을 낮출 수 있습니다.

자궁근종 증상

무증상인 경우가 절반이며, 증상이 있는 경우는
자궁 근종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서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월경과다로 

생리 시 생리의 양이 너무 많거나
7일 이상 생리가 지속이 되어 

빈혈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평소 생리통이 심하지 않았는데 갑자기 심해지는
월경통, 골반 통증, 성교 시 성교통, 

빈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근종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서 하복부가 볼록해
뱃살처럼 보이는 경우도 있어 단순한 

체중 증가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며
아랫배가 무겁고 가만히 있어도 당기는 느낌이 

들거나 없었던 변비가 생긴다면 자궁 근종의 

유무에 대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자궁 근처 복막에 근종이 생기면 병변이 커지면서
주변의 장기를 압박하여 통증이 나타나거나 

배뇨, 배변 장애를 호소하게 됩니다.

자궁근종 종류

위치에 따라서 장막하 근종, 점막하 근종, 

근층내 근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정상의 자궁은 자궁크기가 6~8cm이며
내막층, 장막층, 근육층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근층내 근종은 자궁근종의 80%를 차지하며

자궁 근층 내에 깊숙이 위치하며
자궁의 크기가 커지고 월경량이 증가하지만

자각증상은 없습니다.

장막하 근종은 자궁이 덮고 있는 복막의

바로 아래에서 발생하며 자각증상이 없고

근종이 늘어나 줄기를 형성하기도 합니다.

점막 하 근종은 근종 중에 가장 예후가 나쁘며
자궁내막 하층에서 발생하여 합병증이 많고
작은 크기로도 출혈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감염, 괴사, 화농이 발생합니다.

자궁근종 진단 및 치료

의사의 내진 (생식이 안에 손가락을 넣어

진찰하는 것)으로도 알 수 있지만 대부분

질내초음파 검사로 진단을 합니다.


위치에 따라서 수술이 필요한 경우에는 

정확한 위치 확인을 위해
자기 공명 촬영을 하기도 하며 자궁경과 같은

검사를 추가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치료는 약물적인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는데 환자의 연령이나, 증상의 유무, 

크기, 폐경 여부등에 따라 치료 방법을 

선택하게 됩니다. 대부분 증상이 없고 

악성종양이 아닌 경우는 경과를 관찰하지만
근종이 크거나 증상이 있는 경우는 

치료를 시행합니다.

 

자궁을 보존하고자 할 때는

호르몬 주사를 사용하나 그 작용이 일시적이고

치료가 끝나면 근종의 크기가 다시 커질 수 있고
여성 호르몬의 감소로 인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술적 방법으로는 자궁절제술을 시행하며
자궁을 보존하고자 할 때는 근종적출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근종 적출술을 시행하는 

경우 재발률이 50% 정도 되어 이중 

1/3 정도에서는 재수술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궁근종 경과 및 합병증, 예방

자궁 근종은 호르몬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임신 중에는 근종이 커질 수 있고
폐경이 되면 근종의 크기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궁근종은 양성 질환이라

크기의 증가가 서서히 일어나지만 간혹 근종에

변성이 생겨 드물게 악성 변화가 일어나

크기가 갑자기 커질 수도 있습니다.

 

예방을 하기 위해서는 비만이 자궁 근종의

크기를 키우는 위험 요인이므로
운동을 통해서 체지방을 줄여야 합니다.
그리고 여성 호르몬이 많이 포함되어 잇는 음식은
크기가 더 커지거나 증상이 심해질 수 있으니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자궁근종을 초기에 발견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