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궁경부암 치료부작용 재발 예방법

by 건강하고 싶은 김작가 2025. 3. 18.

자궁경부암 치료부작용

- 수술로 인한 합병증
수술로 인한 합병증에는 급성과 만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급성 합병증은 수술 직후에 나타날수 있는 합병증으로
출혈, 혈관손상, 요관손상, 직장파열, 장폐색,

 폐렴, 폐색전증 등이 있으나 
최근에는 수술 기술의 발전으로 급성 합병증의 

발생 빈도가 매우 드뭅니다.

만성합병증은 방광이나 직장의 

기능적 문제가 가장 대표적입니다.
단순히 자궁뿐 아니라 자궁주변조직을 많이 포함해서

절제하는 광범위 자궁 절제술이나 림프절 절제술을 

동시에 시행하면 생깁니다.
이때 방광이나 직장과 관련있는 신경조직이

많이 손상이 되어 수술 후에 배뇨나 

배변의  장애가 올 수 있습니다.
이 같은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 최근에는 
신경을 보존 하며 광범위자궁절제술을 
시행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시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림프절 절제술로 인해서 림프에 관한 문제로
림프낭종(잘린 림프에서 새 림프액이 체내로 

흡수되지 못하고 주머니를 만들어서 모여있는 것)이나

다리나 회음부에 림프 부종이 생길수 있습니다.
대부분 림프낭종은 시간이 지나면 재흡수되나 

증상이 남아 있는 경우 흡인도관을 이용하여 

배액시켜 림프낭종을 치료할 수도 있습니다.

-방사선치료에 의한 합병증
자궁에 비해서 점막(방광점막, 장점막)은 상대적으로 

방사선에 약해 손상이 잘 일어납니다. 
급성합병증으로 장운동이 일시적으로 

증가하고 점막의 손상으로
설사를 하거나 방광염 증상이 있을수 있습니다.

만성 합병증으로 치료가 끝나고 6개월 이상이 지나면
장폐색(소장이 막혀 장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과 
직장, 방광점막의 손상으로 혈뇨, 혈변이 있을수있습니다.

자궁경부암 재발

일반적으로 수술을 치료받은 1기~2기 환자들 중

5~20%가 재발을 하며 그중 절반은 

1차적인 치료를 받은후 1년 이내,
나머지 절반의 경우도 3년이내에 재발을 합니다.


자궁경부암으로 재발되더라도 20~25%는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완치할수

있으므로 반드시 추적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재발암의 치료는 재발전 치료여부와 환자의 상태나 

재발 부위에 따라서 다를수 있습니다.


중앙암 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자궁경부암의

 5년 상대 생존율은 80% 였습니다.

자궁경부암 예방법

1. 검진
자궁경부암의 예방은 무엇보다도 

암이 되기전에 일찍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입니다.
국가암검진 권고안에는 만 20세 이상 여성에게 

3년마다 자궁경부세포 검사를 권고하고 있어
우리나라는 만 20세 이상 여성에게 2년마다 

자궁경부세포검사를 실시하는
국가암검진 사업을 무료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2. 안전한 성생활
자궁경부암의 가장큰 원인인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는 대부분 성접촉에 의해서 감염이 되기

때문에 첫 성경험의 나이를 늦추고,
성관계 상대자수를 최소화하고 콘돔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성생활을 유지해야 합니다.


3. 금연
담배가 자궁경부암의 발생 위험을 높이기 때문에
에방을 위해서는 담배를 피우지 않고, 흡연을 하는

여성은 담배를 끊는것이 좋습니다.


4.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 접종
HPV예방 백신은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의 감염을

예방해 자궁경부 전암성 병변이나 자궁경부암을 

예방하기 위해 개발이 되었습니다.
HPV 백신은 2가 백신, 4가 백신, 9가 백신이 있으며
의료기관에서 접종 할수 있습니다.


5. 자궁경부암 관련 음식
카로테노이드 - 카로틴과 거의 유사한 구조를 

가진 물질을 말하며 그중에 베타카로틴은

시금치, 당근, 미역 등 신선한 채소와 과일,

해조류에 많이 들어있습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카로테노이드를 많이 섭취하면
자궁경부암의 빈도가 줄어든다고 보고 되어있습니다.
비타민C, E - 비타민C의 섭취가 자궁경부암의 

위험도를 줄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되어 있습니다.


6. 피임약
경구 피임약을 장기 복용하면 자궁경부암의 

발생 위험률이 높아지므로 장기적으로 

복용 시에는 의사와의 상의가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자궁 경부암의 예방을 위해서 

정기검진과 조기검진이 가장 효과적이며
안전한 성생활을 하고, 금연을 하며, 

건강한 생활을 위해서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고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