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암 진단
자궁경부암의 검사는 크게
정말로 암이 맞는지 확인하는 조직검사와
암이 어느 단계까지 진행이 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병기설정 검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진찰
암이 질, 골반, 방광, 직장으로 침범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내진과 자궁경부 세포검사로 이상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 자궁경부 세포 검사
팝도말이라고도 불리며 질에 질경을 넣어
자궁경부를 보이게 위치한 후
세포채취용 솔로 자궁경부에있는 질세포를 채취하여
유리슬라이드에서 현미경으로 검사를 하는 방법입니다.
비교적 간단하고 통증이 없으며 가격도 저렴해서
자궁 경부암의 조기 검진에 사용합니다.
- 질확대경 검사
자궁경부세포검사나 육안으로 진찰시 이상이 있으면
질확대경 검사를 시행합니다, 이것은 자궁경부의 비정상 부위를
질확대경을 통해서 확대하여 자세히 보는 검사입니다.
진료실에서 간단하게 검사를 할수 있으며 육안으로 이상 부위의
조직검사를 동시에 시행할수도 있습니다.
- 조직검사
조직검사는 자궁 경부에서 이상부위를 작게 떼어내
염색한 조직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것입니다.
- 원추절제술
조직검사를 시행했어도 암세포가 자궁경부의 표면에만 있는 건지
더 뚫고 깊이 침범했는지의 상태확인이 확실치 않다면
원추 절제술을 시행할수 있습니다.
원추절제술은 자궁경부를 원추 모양으로 잘라내는 방법으로
상피내암이나 어느 한 부분에 미세하게
침윤성 자궁경부암에서 절제된 부위로
암세포가 모두 제거가 되었다는 판단이 되면
검사에서 치료로 끝날수도 있습니다.
원추 절제술 방법은 메스를 이용해서 하는 경우도 있으나
최근에는 출혈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
전류가 흐르는 loop를 이용하여 수술합니다.
- 방광경및 결장경검사
내시경을 이용하여 암이 방광과 직장의 점막을
침범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하며
침윤성의 자궁경부암이 확인되면 병기를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 경정맥 신우조영술
암이 방광과 요관, 요도의 장기에 침범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검사합니다.
-전산화 단층 촬영검사CT 및 자기 공명영상 MRI
-양전자방출단층 촬영 PET
암세포를 영상화 하여 암의 유무와 분포를 보여주는 검사입니다.
전신을 촬영하여 암조직의 전이위치, 재발 등을 알 수 있습니다.
자궁경부암 치료
자궁경부암의 치료방법은 일반적인 암 치료법과 동일하게
암의 진행정도에 따라서 수술,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이 있습니다.
수술 - 전암성 병변
자궁경부 이형성증과 자궁경부 상피내암인 경우에 해당되며
치료방법은 원추 절제술, 국소파괴요법( 동결요법, 레이저요법,
고주파요법), 단순 자궁절제술이 있습니다.
전암성 병변의 초기 일때는 자궁전체를 제거하지 않고
원추 절제술만으로도 충분하나 병변이 원추절제된 자궁경부의 경계를
침범한 경우나 더 진행된 경우는 상태에 따라서
단순 자궁 절제술을 할수도 있습니다.
수술- 침윤성 자궁경부암
환자의연령과 상태, 암의 진행 정도, 합병증의 유무에 따라서
치료법을 선택합니다. 자궁경부암의 1기와 2기의 초기라면
수술적 치료로 자궁 뿐만 아니라 자궁의 주위 조직까지 절제하는
수술인 광범위 자궁절제술을 시행합니다.
2기 말부터는 수술 보다, 방사선 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동시에 시행합니다.
수술- 재발성 자궁경부암
재발은 크게 2가지로 나뉘는데
골반내에서 발생하는 골반 내 국소 재발과
골반으로부터 떨어진 장기에 발생하는 원격 재발이 있습니다.
치료 방법은 환자의 상태 및 재발된 부위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방사선 치료
자궁경부암은 2기 초기까지는 수술로 치료를 할 수 있으나
그 이후부터는 바로 수술이 불가능해 방사선 치료를 시행합니다.
수술 후에도 암종이 남아있거나
림프절로 침범을 했거나, 재발 고위험군일 경우는
보조적으로 동시항암 화학 방사선 요법을 시행합니다.
방사선 치료는 외부 방사선 치료와 내부 방사선 치료로 구성되며
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서 두 방법을 적절히 조합해 사용합니다.
항암화학요법
항암화학요법은 보통 진행성 자궁경부암의 치료와
수술 후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적인 요법으로
방사선 치료와 함께 사용합니다.
선행화학 요법은 환자 종양의 크기가 커서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시행을 하며
종양의 크기를 줄여 수술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또 림프절의 전이율과 재발률을 낮춰
생존율을 높일 때도 제한적으로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