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감염과기생 미생물 바이러스의 변화 바이러스복제

by 건강하고 싶은 김작가 2025. 8. 29.

감염과 기생

질병 중에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은 

미생물에 의한 감염입니다.
미생물은 신체에 있는 조직에 침범하여 증식하고

정상적인 세포의 기능을 파괴합니다.
대부분 균이라고 부르는 이러한 미생물은 

바이러스, 세균, 원생동물, 곰팡이까지 

다양하게 분류됩니다.
보다 복잡한 구조를 가진 기생충과 유충으로도 

인체에 질병이 생길수 있고, 몸의 여러 장기,

특히 장관에 생기는 기생충 감염이 제일 흔합니다.

※ 미생물의 크기
감염균은 크기가 매우 다양하지만 미생물의 크기는 
감염병의 중증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미세한 바이러스가 치명적인 질환을

일으킬 수도 있는 반면 약 6미터에 이르는 촌충이 

경미한 증상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감염병을 일으키는 원인생물 중에 크기가 

가장 큰것은 기생충류이며
가장 작은것은 바이러스류입니다.

감염병의 중증도는 환경에 의해 큰 영향을 받습니다.
선진국에서는 대부분의 감염병이 효과적으로

치료되고 감염에 대한 예방을 하지만,
개발 도상국에서는 어린이들이 종종 영양 상태가 

좋지 않고  홍역 같은 감염에 의해서 

목숨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온대 지방에서는 콜레라나 말리리아,

기생충이 잘 발생하지 않지만
열대지방에서는 이 같은 질환이 

건강을 해치는 경우가 아주 많고
심할 경우 생명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때로는 감염병이 전세계적으로 

확산이 되기도 합니다.
예를들어 독감은 모든 나라에서 

매년 발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앞으로 전 세계의 건강을 크게 위협할 수 있는 

질환으로는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과 같이 

새로이 나타나는 질환과 결핵과 같이 

기존에 사용하는 약물에 대한 내성을 지니고 

서서히 진행하는 질환들을 들 수 있습니다.

 

어떻게 전염되는가?

미생물이 체내로 침입하여 질환을 

일으키는 경로는 아주 다양합니다.
호흡을 통하거나 음식물을 통해서 침입할수도 있고

피부나 성적 접촉을 통하여 침입할수도 있습니다.
또한 체내에 침입하여 단번에 

여러 기관에 확산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러나 특정 감염균은 간, 장, 호흡기와 같은 

특정 장기에서만 감염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 로타바이러스 : 바퀴처럼 생긴 이 바이러스는 
위장관 감염을 흔히 일으킵니다.

감염은 감염균이 많거나 저항력이 

감소하는 경우 잘 발생합니다.
영양의 결핍, 고령, 이미 본인이 가지고 있는 질환으로 

인한 면역력 감소 등 여러 가지가 원인이 되어 

저항력이 감소됩니다.

 

감염의 관리

지난 100년 동안 주거환경, 위생상태, 

식이상태가 개선됨에 따라 감염을 

조절하는 것에 많은 발전이 있었습니다.
정기적으로 예방접종을 맞고 항생제와 같은 

약물의 개발로 많은 감염병의 치료가
가능해졌으며 일부 감염병은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감염 발생을 감시하는 국제적 프로그램 또한 치명적인 
감염병이 확산되는것을 막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바이러스의 구조와 기능

바이러는 가장 작은 감염원으로 살아있는 세포나
감염된 숙주세포내에서만 증식을 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하나 혹은 두가닥의 유전물질을 

가지고 있고 이것은 단백질 껍질로 싸여있으며,
일부 다른 바이러스는 외부막으로 보호됩니다.

※ 유전물질 : 바이러스의 중앙에는 복제를 위해서 
유전정보를 담고있는 RNA, DNA를 가지고 있습니다.

※ 단백껍질 : 캡시드 라고 불리는 단백질 껍질은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을 싸고 있습니다.
캡시드는 공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단백질 껍질은 
캡소머라 불리는 단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변화

면역체계는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을 

인식할 수 있지만 복제된 바이러스는 

항원 구조가 약간 달라져서 면역 체계가 

이것을 인식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항원 소변이라고 합니다.
이것보다 정도가 큰 항원 대변이가 일어나면 
폭발적인 유행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작은 항원변화를 항원소변이 라고하고
큰 변화를 항원대변이 라고 합니다.

※ 표면 단백질: 바이러스 표면에는 숙주세포의 

특정 수용체에 결합하기 위한 단백질이 있으며 

외피가 없는 바이러스도 표면 단백질이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복제

바이러스는 살아있는 숙주세포내에서 증식을 합니다.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은 숙주세포의 기능을 이용해서
수백만 개의 새로운 바이러스로 증식을 한 후 
세포를 파열시키거나 세포 표면에서 떨어져 나와 
숙주 세포를 떠나게 됩니다.

1.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이 숙주세포 표면의
특수 수용체와 결합을 합니다.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의 세포막에 의해서 탐식이 되거나
세포막과 융합을 하여 숙주 세포 내로 침입하게 됩니다.

 

* 탐식작용: 면역시스템이 체내에 침투를 한

비정상적인 물질을 확인해서 분해하려는

생리작용을 말합니다.


2. 숙주세포 내에서 바이러스는 단백껍질을 벗고 
유전물질이 숙주세포 내에 있는 여러 물질을 
이용하여 새로운 바이러스를 복제하게 됩니다.


3. 각각의 유전물질은 다시 새로운 단백껍질을 

합성한 후 단백 껍질과 함께 새로운 바이러스를 

형성합니다.


4. 바이러스는 갑자기 숙주세포를 파괴하면서
세포 막을 뚫고 방출하거나, 숙주의 세포막에서 
서서히 떨어져 나갑니다.

* 특정 바이러스는 숙주세포에서 떨어져 나올 때에 
숙주의 세포막을 자신의 외피로 이용합니다.